자동차세는 6월과 12월에 각각 1번씩 1년에 총 2번 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월 중에 이를 한꺼번에 납부하면 10%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이것이 바로 [자동차세 연납]이라 부르는 제도인데요.
납부방법과 연납을 하기 전에 꼭 알아야만 하는 몇 가지 지식에 대해서 확인해볼게요.
■■ 납부방법
1. 인터넷
① [위택스]에 로그인하여 계좌이체 및 카드결제를 통해 납부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을 하지 않았다면 고지서에 쓰인 납세번호나 전자납부번호를 입력하여 지불할 수 있죠.
② [인터넷 지로]를 통해서도 가능한데요. 로그인 한 다음에 '지방세' 메뉴를 눌러 납부하면 됩니다. 만약 이곳도 회원가입을 안 했다면 납세번호 및 전자납부번호로 결제 가능하니 걱정 마세요.
③ 여러분이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뱅킹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해당 인터넷뱅킹에서 세금 - 공과금 메뉴를 눌러 납부하면 됩니다.
2. ARS 전화
자동차 등록지 관할 구청에 전화로 연납신청을 하면 가상계좌를 문자로 전송해주는데요. 이곳으로 계좌이체를 하면 납부가 됩니다.
또한 지역별로 그 번호는 조금씩 다르지만 ARS 자동응답 전화를 통해서도 가능한데요. 이때에는 카드결제를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
3. 직접 방문
은행이나 우체국,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의 금융기관에 방문하여 납부해도 됩니다.
이때에는 고지서를 지참하여 납부하시면 되는데요. 만약 고지서를 못 받았거나 훼손 및 분실되었다면 각 지역 구청 세무과 또는 동네 주민센터에 방문하면 다시 재발급받을 수 있다는 것도 꼭 기억하세요.
■■ 알아두면 좋은 지식
1. 자동차 연납은 납부기간이 있으며 이 기간을 넘기면 납부 자체가 안됩니다. 2022년 올해는 설날 구정 연휴로 인해 2월 3일까지 입니다.
2. 자동차 연납은 해당 차량을 다른 지역으로 주소 이전해도 이전한 지역에서 유효합니다.
3. 연납 후에 자동차를 팔거나 폐차하면 남은 기간에 대해 자동차세를 되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4. 연납은 자동이체가 되지 않습니다. 현금 및 카드 결제나 계좌이체, 가상계좌 결제, 간편 결제 등으로만 지불이 가능합니다.
5. 자동차세를 연납하지 않는다면 6월과 12월에 고지서가 배송되며 이럴 경우에는 별도의 공제혜택이 없습니다.
코로나 예방접종증명서 발급방법 3가지 [종이 모바일 스티커]
다음지도에서 행정구역 경계도 확실하게 표시하는 법 [카카오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