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수수료 싹다 알아보자
불과 얼마전에 국내 최초로 오프라인 점포가 없는 인터넷뱅크가 정식 출범했습니다.
바로 K뱅크 (이하 케이뱅크)로 정부에서는 이 은행의 출범을 통해 금융시장 확대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원하고 있는데요.
급여통장과 예금만 벌써 목표치를 달성했다는 뉴스보도가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오늘은 케이뱅크 수수료를 싹다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오프라인 지점이 없다보니 PC의 인터넷뱅킹이나 스마트폰의 모바일 어플과 앱을 통해서만 금융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은행끼리 주고받는 이체는 무료이며 타행이체는 건당 면제처리되고 있는데요.
개인별 수수료 감면 횟수가 있으며 조회방법은 계좌관리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현금을 급하게 뽑아야 하거나 이체를 해야 할 경우에는 ATM 자동화기기나 CD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무척 많죠?
케이뱅크에서는 GS25의 편의점 ATM 및 K-Bank 브랜드 기기에서는 출금과 입금, 이체가 하루종일 24시간 내내 면제처리되고 있습니다.
영업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금액에 상관없이 모두 무료라 매우 좋은데요.
그렇다면 타행의 CD기에서는 수수료가 어떻게 될까요?
타행에서는 가격을 지불해야 합니다.
출금은 700원이고, 입금은 해당 은행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이체는 10만원 이하일 경우 500원 / 초과할 경우에는 1,000원씩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 24시간 내내 같은 요금으로 책정되어있죠.
ATM기기에서의 이용한도도 살펴볼게요.
1회 기준 카드를 사용하여 출금과 입금은 100만원 / 이체는 6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하루 출금금액은 600만원 / 이체는 3,000만원까지 가능한데요.
입금은 한도없이 가능합니다.
그밖에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때의 요금과 문자 통지 서비스 이용료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문자 통지서비스는 정액형과 건별부과형이 있으니 맘에 드시는 것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케이뱅크 수수료 싹다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는데요.
앞으로 더 편리하고 안전한 은행이 되기를 바랍니다.